본문 바로가기

네트워크

(5)
virtual Box 네트워크 구축 3 가상머신은 파일의 집합이다 ~.vmdk ~>vdi 는 디스크 파일이다. 하드 sdd 하나 다운 받은 것 이다. 램 몇기가 설정 cpu usb 넣을 건 지 그래픽 카드는 ~등의 설정정보는 아무것도 없다. 나트 쓰면 다른 호스트들과 통신이 안됨 nat dhcp 자동으로 설정해줌 dhclient 리눅스 에서 서비스를 구동 시키겠다는 의미 와스 웹서버 아파치 톰캣 등 웹 애플리케이션 -> 서버측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요즘 80안쓰고 443 ssl/tls 포트를 사용하고 있음 리눅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데몬이라고 불린다. UI가 없는 거임 데몬을 구동하려면 아파치가 설치가 되어있어야한다. ifconfig -a ifconfig eth0 192.168.57.80/24 up route add default gw 1..
virtual Box 네트워크 구축 2 [2주 차] 1#차시 # 주제 :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 하이퍼바이저의 정의 A Hypervisor (or virtual machine monitor, VMM) i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that creates and runs virtual machine A computer on which a Hypervisor runs one or more virual machine is called a host machine, and each virtual machine is called a guest machine... e.g. Host-Based(VMware Vmware Workstation, Oracle virtualBox), VMware vPh..
virtual Box 네트워크 구축 1 주제1# 일반적인 IT/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 구성요소 //왜 사용하는지 없을시 문제점은뭔지 네트워크 프로토콜 : ARP, DHCP(IP풀 고갈에 대한 문제), IP/TCP, SSH(텔넷 기능인데 암호화됨), TELNET(원격에서 로컬처럼 이용가능하게), FTP, SNMP(네트워크 상에서 원격PC, 프린터,라우터 가능 관리 //피씨방), HTTP/HTTPS(평문인 HTTP를 SSL/TLS로 감싸서 사용한게 HTTPS) 서버/서비스 : AD(Active Directory) //MS 서버가 window agent Id/Pwd 관리 네트워크 망 : 업무망(외부에 노출이안됨 사설망이 대부분 웹브라우징정도는 자유롭게), 사설망(인터넷망에서 접근 불가,인터넷 접근불가, 사설망 서버접속은 VPN을 사용해야함), DMZ..
VMware 네트워크 설정 VMware virtual network Editor(pro 버전)을 열어보면 VMnet0 이 Bridge로, vmnet 1번과 8번이 'NAT'으로 디폴트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host pc의 '제어판\네트워크 및 인터넷\네트워크 연결' 경로와 같습니다. (win + R key 누른 후 ncpa.cpl 입력), vmware가 기본적으로 host pc(사용자의 pc)에 가상 네트워크 카드를 생성해 놓았다고 합니다. vmnet1,8의 'type' 이 'NAT'으로 설정되어 있을 것인데 의미는 설치한 vmware guest pc에서 NAT에 따로 존재하는 데몬을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겠다는 의미입니다. 'type'에는 'host-only' 도 존재합니다. 이는 host-pc 에서만 guest..
네트워크 기본 이론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491623 이책을 기반으로 정리한 것 입니다. 시스템 System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을 가리킨다. 주로 컴퓨터​인터페이스 interface시스템과 전송매체의 연결 지정에 대한 규격. 인터넷선과 컴퓨터의 연결지점​전송 매체 Transmission Media: 시스템끼리 정해진 인터페이스를 연동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인 전송수단. 케이블​1-1. 프로토콜 Protocol (서로 다른 호스트에 위치한 동일 계층끼리의 통신 규칙)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 표준화된 특정 규칙주종 관계가 아닌 동등한 위치에 있는 시스템 사이의 규칙이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인터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