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머신은 파일의 집합이다
~.vmdk
~>vdi 는 디스크 파일이다. 하드 sdd 하나 다운 받은 것 이다.
램 몇기가 설정 cpu usb 넣을 건 지 그래픽 카드는 ~등의 설정정보는 아무것도 없다.
나트 쓰면 다른 호스트들과 통신이 안됨
nat dhcp 자동으로 설정해줌
dhclient 리눅스 에서 서비스를 구동 시키겠다는 의미
와스 웹서버 아파치 톰캣 등
웹 애플리케이션 -> 서버측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요즘 80안쓰고 443 ssl/tls 포트를 사용하고 있음
리눅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데몬이라고 불린다. UI가 없는 거임
데몬을 구동하려면 아파치가 설치가 되어있어야한다.
ifconfig -a
ifconfig eth0 192.168.57.80/24 up
route add default gw 192.168.57.2
ping 으로 연결확인은 했는데 웹서버는 열리지 않는다면 setup 명령으로 방화벽 설정에 가보면 체크되어있다. 해제하면 된다.
HTTP 프로토콜은 TCP 를 기반으로 설계 되었다.
application
*ssl/tls layer (연결시점에 키를 주고 받는 과정이 있다.) //HTTP header body 를 암호화 한다.
transport
internet
network interface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 Box 네트워크 구축 2 (0) | 2020.03.25 |
---|---|
virtual Box 네트워크 구축 1 (0) | 2020.03.19 |
VMware 네트워크 설정 (0) | 2019.07.18 |
네트워크 기본 이론 (0) |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