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위도우 시스템

Win System Programming

IPC란 개념을 예전에 소켓프로그래밍 수업때 배운 기억이 있다.

프로세스간 통신을 위한건데 양방향이 아니라 단방향이다.

쉽게 생각하면 된다. CreateFile이라는 함수를 통해서 파일을 만들어 통신하는 방식이다.

receiver쪽에서는 createfile 함수와 read 함수를

sender 쪽에서는 createfile 함수와 write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ex)

HANDLE hMailslot;

hMailslot = CreateFile( );

WriteFile(

    hMailslot

    message

);

closehandle(hMailslot);

 

요약한 소스코드인데 핸들 타입의 변수를 선언후

파일생성 함수를 호출하면 파일의 핸들값이 반환된다.

파일을 생성할때 핸들값을 파라미터로 준다.

그리고 uc를 줄여주기위해 closehandle함수를 사용한다.

 

커널 오브젝트의 상태는

실행중이면 signaled 종료되었으면 non-signaled 로 저장된다. (리소스의 현재 상황을 알리기 위해)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프로세스의 상태를 보려면

WaitForSingleObject( ) 함수를 사용하면 되는데 자식프로세스가 종료될때까지 블록킹 되어있는 함수이다.

그러므로 자식프로세스가 꼭 종료되고 실행되야하는 부모 프로세스라면 이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프로그래밍 > 위도우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 System Programming  (0) 2020.02.28
Win System Programming  (0) 2020.02.27
Win System Programming  (0) 2020.02.24
Win System Programming  (0) 2020.02.22
Win System Programming  (0) 2020.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