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rtual Box 네트워크 구축 2
[2주 차]
1#차시
# 주제 :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 하이퍼바이저의 정의
A Hypervisor (or virtual machine monitor, VMM) is computer software, firmware or hardware that creates and runs virtual machine A computer on which a
Hypervisor runs one or more virual machine is called a host machine, and each virtual machine is called a guest machine...
e.g. Host-Based(VMware Vmware Workstation, Oracle virtualBox), VMware vPhere ESXi(서버위에 직접 가상화 설루션 설치) - Baremetal이라고 부름
## 호스트 기반의 하이퍼바이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모드
하이퍼바이저 상에서 구동하고 있는 가상머신 -> Guest 머신
하이퍼바이저를 구동하고 있는 시스템을 -> Host 머신
Host-Only Network Mode : Guest 머신들이 Host 머신 하고만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모드 (인터넷 사용 불가)
NAT Network Mode : Guest 머신들이 별도의 가상 서브네트워크(사설네트워크)에 소속되고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하이퍼 바이저가 가상으로 제공하는 라우터를 사용하는 모드(인터넷 O)
Bridge Network Mode : Guest 머신들이 Host 머신의 네트워크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소속되는 모드(Guest 머신은 인터넷 사용 가능)
(하이퍼 바이저는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게해주는 가상 스위치를 제공해주는데
가상 머신이 설 될 때(인포트 될 때라 고함) 무조건 하나의 네트워크에 소속되어야 한다.
게스트 OS도 가상NIC가 있다. NetA의 가상 스위치를 통해서 전기적인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게스트가 인터넷을 하려면 무조건 호스트의 네트워크 카드를 거쳐야 한다.
HostOnly 는 게스트 네트워크 가상 스위치가 Host머신 netcard에 접점이 없다.
또한 Host PC와 통신하기위해 호스트 PC에 네트워크마다 가상 어뎁테(가상 NIC)를 만든다. 네트워크 카드 주소는 네트워크데역 ip x.x.x.1번이 된다.)
NAT는 하이퍼바이저가 가상 라우터를 제공해준다.(virtual 박스에서 구동됨(네트워크 카드가 2개가 있음 한쪽은 호스트 NIC 하나는 서브네트웤C 스위치 대역에 연결)
즉 라우터는 게이트웨이가됨( 사설 네트워크 쪽 라우터의 NIC가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해 만나는 로컬 네트워크의 첫 번째 네트워크 카드
IPTIME이 게이트 웨이가 되는 거임. 외부네트웤으로 나가는 첫 번째 네트워크 카드 이름
IPTIME 네트워크 대역이 10.10.10.X 라면 내부 게스트 머신 IP가 10.10.10.40, 10.10.10.50 이런 식으로 동격으로 설정이 됨